주님 찬양/주님 찬양
Gregorian Chant
by 하늘 호수
2013. 5. 13.
출처 : http://cafe.daum.net/casungbok
Chant - Benedictine Monks of Santo Domingo de Silos | |
|

|
1 Puer Natus Est Nobis. Introit (Modo VII) 3:36 2 Os Iusti. Gradual (Modo I) 2:49 3 Christus Factus Est Pro Nobis. Gradual (Modo V) 2:39 4 Mandatum Novum Do Vobis. Antiphonal and Psalm 132 (Modo III) 1:41
5 Media Vita in Morte Sumus. Responsorio (Modo IV) 6:11
6 Alleluia, Beatus Vir Qui Suffert. (Modo I) 3:10 7 Spiritus Domini. Introit. (Modo VIII) 3:46 8 Improperium. Offertorio (Modo VIII) 2:36 9 Laetatus Sum Gradual (Modo VII) 2:17 10 Kyrie XI, A. (Modo I) 1:06 11 Puer Natus in Bethlehem. Ritmo (Modo I) 1:58 12 Jacta Cogitatum Tuum. Gradual (Modo VII) 3:34 13 Verbum Caro Factum Est. Responsorio (Modo VIII) 4:04 14 Genuit Puerpera Regem. Antiphonal and Psalm 99 (Modo II) 2:56 15 Occuli Omnium. Gradual (Modo VII) 3:21 16 Ave Mundi Spes Maria. Sequenza (Modos VII y VIII) 4:18 17 Kyrie Fons Bonitatis. Trope (Modo III) 4:00 18 Veni Sancte Spiritus. Sequenza (Modo I) 2:42 19 Hosanna Filio David. Antiphonal (Modo VII) 0:42

Album Credits Performance Credits Primary Artist : Benedictine Monks of Santo Domingo de Silos Release Date: 03/15/1994 Label: ANGEL RECORDS
Technical Credits Mastering : Ted Jensen Engineer : Angel Barco Producer : Maria Francisca Bonmati Liner Notes : David Foil Cover Design, Cover Art : Marvin Mattelson Art Direction : Jay Barbieri Director, Liner Notes, Direction : Ismael Fernandez de la Cuesta Direction, Director : Francisco Lara

Gregorian Chant
오늘날 가장 중요한 전례음악으로 가톨릭교회에서 존중되는 성가. 로마 교황 그레고리오 1세 (재위 590~604)에서 유래 한다. 성가의 기원은 그리스도교 이전의 유대교 성가에 까지 거슬러 올라가게 되며, 거기에 동방 여러 교회의 성가, 유럽 각 지방의 성가 등이 혼합되어 그레고리오성가의 기초가 이루어졌다.

Pope Gregory I (Latin: Gregorius I) (c. 540 – 12 March 604)
그것을 통일 · 집대성한 데에는 교황 그레고리오 1세의 공헌이 컸다. 그러나 실제로 그레고리오 성가의 레퍼토리의 대부분이 8세기에서 14세기경 사이에 유럽에서 점차로 형성 되어 간 것으로 생각되며, 동방적 · 지중해적인 요소 보다는 서유럽적인 성격이 강하다. 중세 후기 이후 쇠퇴하여 그레고리오 성가의 올바른 창법 전통도 상실되었으나, 19세기 말 다시 프랑스의 솔렘수도원을 중심으로 성가 부흥운동이 일어나, 오늘날에는 솔렘식(式) 창법이 정통파로 규정되었다.
교회 세력이 점점 확장되고 위상이 높아지자 기독교의 중심지인 로마 교회는 각 지방에서 행해지던 교리와 의식, 성가등을 일정한 형식으로 통일하게된다. 그리하여 6세기말 교황 그레고리우스 (Gregorius 540~604)에 의해 집대성되는데 이것이 바로 그레고리오 성가이다. 이 정통적인 교회음악인 그레고리오 성가는 단성부 음악으로서 하모니와 대선율도 없는 그지없이 단순한 형태이지만 그 유려한 선율은 매우 아름답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