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의 선암사
단풍이 아름다운 고찰일거라고 예상하고 갔지만
단풍은 아직 이른 듯
무채색에 가까운 사찰의 모습을 보고 왔다.
얼마나 오래된 고목인지
나무줄기마다 이끼같은 것들이 빽빽하게 붙어 있다.
원시림을 떠올리기 하는 나무로
키가 하늘에 닿으려고 한다.
선암사
요약설명
조선시대에 중창한 사찰로 순천 조계산 장군봉 동쪽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백제의 아도화상이 절터를 닦고 ‘비로암’이라 하였던 것을 통일신라 도선국사가 ‘선암사’로 고쳐 불렀다는 설이 전해지고 있다.
고려시대에는 대각국사 의천에 의해 중창되면서 크게 번창했으나 조선 중기 정유재란 이후 거의 폐사되다시피 했다.
화재로 소실된 것을 순조 24년(1824) 해붕이 다시 중창했다.
선암사 경내에는 선암사삼층석탑, 대웅전, 승선교를 비롯한 지정문화재 24점과 선암사성보박물관에 2000여점의 유물이 남아있다.
현재는 조계산의 서쪽에 있는 송광사와 함께 수련도량으로 유명하다.
“선암사의 유래”
선암사라는 절 이름은 대부분 절 주변에 있는 큰 바위에서 유래하고 있다.
절 서쪽에는 10여장이나 되는 큰 돌이 있는데 돌이 평평해서 사람들은 옛 선인이 바둑을 두던 곳이라 하여 ‘선암’이라는 절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또 하나의 유래는 선암사 뒤편 봉우리에 배 바위라고 불리는 큰 바위가 있는데,
조선 숙종 때 호암선사가 배바위에 올라 100일 기도를 올리며 관세음보살을 친견하기를 기원하였으나 보지 못하자
지성이 부족함을 한탄하며 아래로 몸을 날려 떨어졌다고 한다.
이 때 한 여인이 코끼리를 타고 천상에서 내려와 보자기로 선사를 받아 배바위에 올려놓았다고 하는데,
호암선사는 그 여인이 관세음보살임을 깨닫고 원통전을 짓어 관세음보살을 봉안하였다.
그 후 사람들은 신선이 내린 곳이라 하여 선암사로 불렀다고 한다.
상세설명
선암사는 신라시대 아도화상의 ‘비로암’ 창건설과, 도선국사 창건설을 가진 사찰로서,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에 의해 중창되면서 천태종 전파의 중심사찰이 되었다.
경내에는 대각국사의 부도로 추정되는 보물 제1117호 ‘선암사대각암부도’ 등 보물 14점을 비롯하여
다수의 중요문화재가 산재해 있어 역사적·학술적으로 가치가 크다.
- daum 문화유산 에서 -
단청을 곱게 칠한 사찰도 많은데
선암사의 대웅전은
옛 모습 그대로 보존하고 있었다.
어느 사찰의 대웅전보다도 소박해서 좋다.
댓돌위의 흰고무신...
단풍이 아직 덜 들었는데
바람이 불 때마다 낙엽이 휘이 휘이 떨어지니
계곡이 무채색으로 ... 이미 늦은 가을처럼 쓸쓸해 보인다.
다른 계절에 다시 한 번 가서 보고 싶다.
'하늘호수 이야기 > - 카메라와 친구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리 내린 아침 (0) | 2014.11.10 |
---|---|
순천 송광사 (0) | 2014.11.09 |
아산 곡교천 은행나무길과 국화밭 (0) | 2014.11.07 |
청남대의 가을 풍경 (0) | 2014.11.05 |
빗방울 맺힌 소품들 (0) | 2014.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