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갓바위는
전라남도 목포시 용해동 인접 해역에 있는 풍화혈(風化穴; tafoni)이다.
2009년 4월 27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500호로 지정되었다.
삿갓을 쓴 사람 모양이라서 갓바위라 부른다.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영산강 하구에 위치해 풍화작용과 해식작용의 결과로 형성된 것이다.
풍화혈은 노출암괴에서 수분이 암석내부로 쉽게 스며드는 부위(균열 등)에 발달하며,
스며든 수분의 부피변화로 야기되는 물리적 압력에 의해 암석을 구성하는 물질이 보다 쉽게 입상(粒狀)으로 떨어져 나오는데,
일단 풍화혈이 생성되기 시작하면 이곳은 햇빛에 가려져 더욱 많은 습기가 모여 빠른 속도로 풍화되면서 풍화혈은 암석 내부로 확대된다.
목포해안 갓바위는 인위적 요인이 전혀 작용하지 않고 해역의 풍화환경에서 자연적인 과정으로 빚어진 풍화혈 상태의 자연 조각품이며
다른 지역 풍화혈들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희귀성을 가지고 있다.
갓바위 전설
아주 먼 옛날 이곳에 병든 아버지를 모시고 사는
소금장수 아들이 있었다. 살림은 궁했지만 효성이 지극한 청년이었다.
아비의 병이 깊어지자 청년은 약값을 마련하느라 이웃 부잣집에
농번기 한철 머슴으로 갔다.
한 달간 열심히 일했으나 못된 주인이 품삯을 주지 않아 전전긍긍하다가
아비 걱정에 빈손으로 집에 와 보니, 이미 아비의 손발이 싸늘하게 식었다.
한 달이 훨씬 넘게 병간호를 못해 아비를 죽게 했음을 통탄하며
청년은 아비가 저승에서나마 잘 지내도록 양지바른 곳에 묻어주려 했다.
배로 관을 운반하다가 그만 실수로 관을 바다에 빠뜨리고 말았다.
바다에 들어가 자맥질을 하며 아비의 관을 건지려 했으나 찾을 수 없었다.
아들은 견딜 수 없었다.
자신은 하늘을 바로 볼 수 없는 불효자라 통회하면서
이곳에 갓을 쓰고 앉아서 굶어 죽었다. 아들이 죽은 후
이곳에 갓을 쓴 모양의 바위 두 개가 솟았다.
사람들은 큰 바위를 '아비 바위', 작은 바위를 '아들 바위'라 이름지었다.
그날 밤 달은 이렇게 반달이었지요.
'하늘호수 이야기 > - 카메라와 친구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계령과 오색 주전골 그리고 경포대 (0) | 2015.04.16 |
---|---|
벚꽃나무 아래에서... (0) | 2015.04.10 |
여수 오동도와 야경 (0) | 2015.04.09 |
별도 달도 다 따줄께... (0) | 2015.04.08 |
구례 산동 산수유 마을 (0) | 201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