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 일반/- 아! 어쩌나?

[아! 어쩌나?] (171) 정서적 발작은 어떻게 치유할 수 있나요?

by 하늘 호수 2012. 10. 11.

 
[아! 어쩌나?] (171) 정서적 발작은 어떻게 치유할 수 있나요?

▲ 홍성남 신부(한국가톨릭상담심리학회 1급 심리상담가, 그루터기영성심리상담센터 담당) cafe.daum.net/withdoban


Q. 정서적 발작은 어떻게 치유할 수 있나요?

   저는 가끔 정서적 발작이 일어나곤 합니다. 무언가 제 뜻대로 일이 안 되거나 안 될 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 들면 꼭 혼이 나간 사람처럼 일이 손에 잡히지 않고 혼자 중얼거리고, 방구석에 콕 틀어박혀 머리를 쥐어박거나 머리털을 뜯는 등 이상행동을 해서 부모님에게서 "너 미친 거 아니니?"하는 소리를 듣곤 합니다. 물론 제가 정말 미친 것은 아니고요.

 하지만 제가 생각하기에도 일시적으로 정신 나간 듯한 발작 행동을 하곤 하는데, 이런 것은 어떻게 고칠 수 있나요? 제 말을 들은 어떤 분은 성모신심을 가지라고 하던데, 제가 성모님의 어떤 면을 본받아야 하나요?

 
 A. 우리는 대개 정서적 발작 증세를 갖고 살아갑니다. 마음이 건강할 때는 자기 자신의 파괴적 속성을 제대로 인식하고 필요에 따라 변화를 주기도 합니다. 또 자신을 행복하게 하는 방법을 익히고 자신을 행복하게 하려는 의지를 보일 수 있습니다. 인생을 보는 시각을 바꿈으로써 과거 문제들을 해결해가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내고 아무리 어려운 일이 닥쳐도 효과적으로 대처하며, 인생을 나쁜 방향으로 몰아가지 않고 건설적으로 살아갑니다.

 하지만 마음이 병들면 불행한 일이 생기자마자 초조해하고 자포자기하려고 합니다. 술과 한탄을 방어막 삼아 자신의 무기력을 감추려는 본의 아닌 비겁한 행동을 합니다. 좋은 일이 생겨도 일시적 안도감을 느낄 뿐이고 감사하는 대신 비관적 심리상태에 빠지기 쉽고, 평화로울 때도 다음에 올 위기를 생각하면서 전전긍긍한 채로 살아갑니다. 거의 모든 사람이 이런 상태가 마음 안에서 들락날락 거리기에 일반적으로 사람은 정서적 발작 증세를 갖고 산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정서적 발작 증세를 어떻게 치유할 수 있을까요? 우선 문제와 불행감의 대부분은 어떤 일에 깊이 빠져들 때 생긴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따라서 사소한 일에 너무 깊이 생각하고 몰입하지 말아야 합니다. 지나치게 분석적 사고방식은 자칫하면 편협하고 부정적 결론에 이르게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바로 편집증적 성격장애자의 경우처럼 말이지요. 게다가 이러한 삶은 마음에 즐거움을 주지 못하고 그 안에서 미로처럼 길을 잃고 해결책을 찾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게 합니다.

 두 번째는 생각을 관리하는 사람이 바로 자기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사람은 저마다 스스로를 교정하는 정서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은 기분에 따라 인생을 보는 눈이 180도 바뀌는데, 기분과 시각을 바꾸는 이런 정서체계를 누구나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아무리 열악한 상황일지라도 정신력을 발휘할 수 있고, 그 어떤 충격에서도 믿을 수 없을 정도의 회복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것은 내 생각의 주인이 바로 나 자신이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이렇게 인생에 대한 긍정적 느낌을 키워나갈 때 인생을 보는 안목도 한 단계씩 올라가고, 인간적으로도 성숙해지는 것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포로수용소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빅터 프랭클(1905~1997)이라는 심리학자는 이런 조언을 해줍니다.

 "사람은 인생으로부터 의미와 사명의 물음을 받는 존재이다. 인생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은 그것이 아무리 힘들고 괴롭다 할지라도 그렇게 된 데는 무언가 의미가 있기에 그 의미에 대해 깨닫고 배우도록 재촉한다. 인생이란 그와 같은 배움과 깨달음을 얻는 과정이며, 정신적 성숙과 영적 성장의 기회이자 시련의 장이다. 인간의 자유는 조건으로부터의 자유가 아니라 조건에 대해 어떤 태도를 보일 것인가의 자유이다."

 인간에게 다가오는 모든 상황을 사람을 성숙하게 하려는 신의 섭리로 받아들일 때 진정한 자유인이 된다는 영성가들 의견과 일치하는 주장입니다.

 만약 빅터 프랭클이 편안한 삶을 살면서 이런 말을 했다면 주위 사람들에게서 '배불러서 하는 소리'라는 핀잔을 들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는 죽음의 문턱까지 가서, 허덕이는 삶의 자리에서 정신적 자유를 얻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을 기울인 사람이었기에 그의 말을 귀담아들을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루카복음 1장 39-56절을 보면 성모님께서 사촌언니 엘리사벳을 방문하고 마니피캇이라는 노래를 부르는 대목이 나옵니다. 마니피캇은 성모님이 행복감으로 가득한 상태에서 당신의 존재 의미에 대한 깨달음의 기쁨을 노래로 부르신 것입니다. 마치 득도한 승려가 시 한 수로 자신의 심경을 표현한 것과 비슷합니다.

 이것은 마리아가 평범한 처녀가 아니라 이미 정신적으로 상당한 경지에 오른 사람임을 시사합니다. 우리는 이런 마리아를 부러워만 할 일이 아니라 빅터 프랭클의 조언처럼 내 인생의 의미, 나의 사명에 대해 주님과 깊은 대화를 나눈다면 성령께서 우리에게도 언젠가는 성모님처럼 마니피캇을 부를 은총의 기회를 주실 것이라 믿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