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상 글780 [ESSAY] 은퇴? 죽음? 무슨 당치 않은 소리 - 권이복 신부 [ESSAY] 은퇴? 죽음? 무슨 당치 않은 소리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나는 80이나, 90, 100년 한정된 삶을 살다 사라지는 그런 존재가 아니다 영원에서 와서 영원까지 살아 존재하는 나… 그 영원의 일부를 사는 것이다 권이복 남원 도통동 성당 주임신부 낯설다. 아직.. 2016. 10. 5. “루시아 자매를 주님께 보냅니다”…눈물의 장례미사(종합) “루시아 자매를 주님께 보냅니다”…눈물의 장례미사(종합) 21일 제주시 연동 성당서 거행…강우일 주교 집전(제주=뉴스1) 안서연 기자 | 2016-09-21 12:00:47 송고 21일 오전 10시 제주시 연동 모 성당에서 故 김성현씨(61·여)의 장례 미사가 천주교 제주교구장인 강우일 주교 집전 하에 진행되.. 2016. 9. 21. 하느님의 비밀은 사람의 힘으로는 알 수 없다. 1. 하느님의 깊은 뜻을 섣불리 추측하기보다는 그 섭리에 맡기는 편이 낫다. 하느님의 비밀은 사람의 힘으로는 알 수 없다. 2. 나의 자비 깊음을 누가 깨달을 수 있으랴. 바다의 깊이와 또 거기 가득히 찬 물을 아는 자 있는가? 사람이 모르는 사람들 중에 용서를 받는 영혼은 많이 있다. - .. 2016. 8. 9. 박준양(세례자요한) 신부님 강의 동영상 - 성령론, 은총론 외 1. 박준양 신부님 "성령론 -신앙의 해에 성령의 인도를 청하며" 2. 박준양 신부님 "은총론 - 고통과 은총의 신비로운 교차 " 3. 박준양 신부님 "종말 - 죽음과 영원한 생명" 4. 박준양 신부님 "말씀을 통한 영의 체험" 2016. 3. 17. 2016년 목5동성당 사순특강 2016년 목5동성당 사순특강 1 - 허규 신부님의 요한계 문헌에 나타난 '믿음' - 2016년 목5동성당 사순특강 2 - 허규 신부님의 요한계 문헌에 나타난 '사랑' - 2016년 목5동성당 사순특강 3 - 조규만 주교님의 하느님 - 2016년 목5동성당 사순특강 4 - 심상태 몬시뇰님의 그리스도론의 어제와 오늘 - 2016. 3. 14. 양승국 신부의 희망 한 스푼 - 그리스도인의 야망 그리스도인의 야망 야고보와 요한 사도 어머니의 ‘인사 청탁’ 사건은 생각할수록 흥미진진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야고보와 요한 사도는 어떤 사람들이었습니까? 베드로 사도와 더불어 최초로 불림 받은 제자들이었습니다. 예수님께서 그들을 얼마나 총애했던지 타볼 산 변모 사건.. 2016. 2. 29. 양승국 신부의 희망 한 스푼 - 복음 때문에 복음 때문에 요즘 들어 우리네 삶이 왜 이다지도 팍팍한지 모르겠습니다. 옆을 돌아볼 여유가 없습니다. 그저 내 한 몸 챙기기도 벅찹니다. 내 식솔들 챙기기에 바쁩니다. 벌어져서는 안 될 참혹한 사건사고가 바로 내 눈앞에서 벌어지지만 그저 내 길을 갈 뿐입니다. 이런 세상 속에서도 .. 2016. 2. 23. 양승국 신부의 희망 한 스푼 (예수님과 함께 춤을) 예수님과 함께 춤을! 예수님의 등장으로 인해 그 오랜 기다림의 세월은 마침표를 찍게 되었습니다. 당연히 그분의 오심을 잘 준비하기 위해 실시해오던 단식과 고행도 더 이상 필요 없게 되었습니다. 그분의 육화강생으로 인해 이제 매일이 축제와 환희로 충만하게 되었습니다. 매 순간.. 2016. 2. 15. 양승국 신부의 희망 한 스푼-허물어지는 것은 한 순간 양승국 신부의 희망 한 스푼-허물어지는 것은 한 순간 허물어지는 것은 한 순간 때로 죄나 악의 세력들이 지닌 힘이 얼마나 강렬한지... 나약한 우리가 홀로 막아내고 저항하기가 이만저만 힘겨운 게 아닙니다. 인간을 악의 골짜기로 인도하는 어둠의 세력이 지닌 확장성은 상상을 초월합.. 2016. 2. 10. 양승국 신부의 희망 한 스푼-부족해도 괜찮습니다 양승국 신부의 희망 한 스푼-부족해도 괜찮습니다 부족해도 괜찮습니다! 바오로 사도가 때로 애제자처럼 때로 막내아들처럼 애지중지한 협력자가 한 명 있었는데 그의 이름은 티모테오였습니다. ‘주님으로부터 사랑받는’이란 의미를 지닌 자신의 이름처럼 티모테오 주교는 초세기 그.. 2016. 2. 10. 이전 1 2 3 4 5 6 7 ··· 78 다음 반응형